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 ATmega128 소개 (1)

Study/AVR

by Ha학생 2021. 7. 28. 13:03

본문

안녕하세요 하학생입니다.  오랜만에 공부로 포스팅하네요.

ATmega128에 대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참고는 ATmega128로 배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밍이라는 책으로 했습니다.

 광고 아니고요!! 정리도 잘되어있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생각보다 이해하기 편했습니다. 

이제 제가 공부한 내용 정리한 것을 포스팅하겠습니다!!!

 


AVR마이크로 컨트롤러

  1984년 창립한 반도체 제조회사 아트멜의 주력으로 만드는 상품은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여기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란 지능화와 소형화를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메모리와 각종 주변 장치들을 함께 집적하여 넣은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8051, ARM, AVR 등으로 크게 나눈다고 한다. 8051은  1980년 인텔에서 발표한 8비트 CISC 구조를 사용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아트멜에서 제작한 AVR과 ARM 마이크로컨트롤러는 RISC구조를 사용한다. AVR은 8비트, ARM 은 32비트이다. 여기서 사용될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avr의 메가 시리즈인 ATmega128이다.

 

 

ATmega128의 특징

  • RISC구조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명령어는 1 클록이 소요된다. (2 클록을 필요하는 곱셈기도 가지고 있다)
  • 32개의 8비트 범용 레지스터와 I/0 레지스터를 제공하고 정적 동작 지원이 된다.
  • 4KB 휘발성 SRAM(데이터 메모리), 10000회 쓰기가 보장된 128KB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프로그램 메모리)와 4KB 비휘발성 EEPROM(데이터 메모리) 등등 다양한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 2개의 8비트 타이머/카운터, 2개의 16비트 타이머 /카운터, 다양한 해상도의 PWM 채널, 2개의 UART 통신 지원 등 다양한 주변장치를 가지고 있다.

 

 

ATmega128의 외형적 특징

출처 : ATmega128로 배우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그래밍

 

 64개의 핀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디지털 및 아날로그 전원 관련된 핀은 7개(GND, VCCM, AVCC, AREF)이다.

외부 클록 공급으로 사용된 크리스털 연결 핀 2개(XTALm, n=1,2), 리셋(RESET), SPI를 이용하여 시리얼 프로그래밍 중 사용하는 핀을 제외하고 53개의 핀을 데이터 입출력 핀으로 사용 가능하다

※ VCC : 디지털 전원 , AVCC : 아날로그 전원, AREF : 아날로그 기준 전압

 

핀별 기능

 

하나의 핀이 2개 이상 기능을 가진 경우가 흔하다. 핀의 이름이 'PXn' 형식의 이름 일 경우에 디지털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진 핀이다. P는 PORT의 약자이고 X는 포트 이름(A~G), n은 핀번호(0~7)이다. 보통 A~F의 포트는 0~7핀 까지 있지만 G는 0~4번까지 있다.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는 8 비트 있다 그리고 8 비트의 정배 수배 단위로 데이터가 처리된다.  핀으로 비트 단위로 주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이 가능 하지만 CPU 내부에서는 비트단위로 처리가 불가능하다.  8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해 입출력 핀으로 전달한다.

 

포트별 핀번호


공부하면서 느낀 점

 오랜만에 공부한 것을 포스팅하면서 내가 확실하게 읽으면서 정리를 했지 않구나 라고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섬세하게 공부를 하면서 정리를 하여 좀 더 포스팅할 때 중간중간에 막히지 않도록 해야겠다고

생각이 많이 드네요 ㅎㅎ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ATmega128로 배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밍>

'Study > AVR'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비트 연산자  (0) 2021.08.05
2. ATmel studio 설치하기  (0) 2021.07.30
1. ATmega128 소개(2)  (0) 2021.07.2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